프로그래밍/Mobile
[WML 기초강좌] 08. 간단한 링크걸기 (2)
라제폰
2008. 12. 13. 19:03
* 간단한 링크 걸기 (2)
<일곱번째 예제>
<?xml version="1.0" encoding="ks_c_5601-1987"?>
<!DOCTYPE wml PUBLIC "-//PHONE.COM//DTD WML 1.1//EN" "http://www.phone.com/dtd/wml11.dtd">
<wml>

<card>
<p>
OPTION태그
<select>
<option onpick="#cd1">1번째 CARD</option>
<option onpick=
"http://www.fantastock.com/casino/index.wml">WML카지노</option>
</select>
</p>
</card>
<card id="cd1">
<p>
1번째 선택.
</p>
</card>
</wml>
이 전 장의 여섯번째 예제에서 우리는 A HREF를 이용한 링크를 배웠었는데
사실 이 select, option태그가 더 많이 쓰입니다.
사용하기도 간결하고 쉬울뿐 아니라 여러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우선 사용법은 <select>~</select>태그안에 <option>태그를 이용해서 메뉴를 정의하면 됩니다.
option에서 쓰이는 링크 걸기는 <go>나 <a>에서 쓰였던 href가 아닌 onpick이라는 명령입니다.
onpick을 이용해 카드 이름이나 데크 이름을 따옴표로 묶어 적어주면 간단히 끝이 납니다.
물론 카드로 연결할때는 #을 사용하는걸 이제는 말 안해도 다들 아시겠지여? ^^
사용법은 간단히 이정도입니다. 그럼 <a href>에 비해 장점이 무엇인가?
바로 accesskey라는 명령을 쓰지 않아도 핸드폰의 숫자키와 대응이 된다는 것입니다.
자동으로 첫 메뉴뷰터 차례대로 1,2,3...이런식으로 순차적으로 번호를 주어서
핸드폰의 숫자키와도 대응이 되며 그림에서 보는것처럼 메뉴 앞에 1,2 이런식으로 번호도 붙습니다.
물론 1,2,3 이렇게 하다가 번호가 0번인 메뉴가 필요하다..이럴경우엔
<a href>를 사용하는 수밖에 없겠지요....
참.. option태그를 사용하면 a href와 달리 accept 버튼의 label이
Link로 바뀌지 않고 기본값인 OK를 그냥 가지고 있게 됩니다.
<참고>
<option onpick="#cd1">1번째 CARD</option>
이 부분은 다음과 같은 문장의 축소판입니다. 알아두시면 좋으실겁니다.^^
<option>
<onevent type="onpick">
<go href="#cd1">
</go>
</onevent>
1번째 CARD
</o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