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시스템, 서버구축
PostgreSQL 설치하기
라제폰
2008. 12. 30. 13:18
2. PostgreSQL 설치하기
2.1 postgres 계정 만들기
- postgres라는 계정과 그룹을 만든다. 기본적으로 RedHat 패키지는 useradd란 명령으로 그룹과 계정을 같이 만들어 준다.
# useradd postgres # passwd postgres
2.2 백업 하기
- 처음 설치하는 경우는 '2.3 컴파일및 설치'로 넘어간다. 백업은 postgres 계정으로 작업한다.
$ pg_dumpall -z > db.out
2.3 컴파일및 설치
- 컴파일 하기전 postmaster 데몬을 죽인다.
# ps -aux | grep postmaster # kill PID (위에서 찾은 pid 번호)
- PostgreSQL 소스를 /usr/local 방에서 푼다.
- 풀면 postgresql-6.5.3이란 디렉토리가 생기는데 이름을 pgsql로 바꿔준다. (기존의 pgsql 디렉토리는 버전을 명시하며 이름을 바꿔준다.)
# mv postgresql-6.5.3 pgsql (이름을 pgsql로 바꾼다) # chown -R postgres.postgres pgsql (user와 group을 바꾼다) # cd /usr/local/pgsql/src # vi Makefile.custom (Pentitum pro급 이상에서 최적화를 CFLAG+= -m486 위해 생성한다) # ./configure --with-mb=EUC_KR (한글 사용을 위해) # cd /usr/local/pgsql/doc # make install (맨 페이지, HTML 문서파일 설치) # cd /usr/local/pgsql/src # make all (컴파일)
- 'All of PostgreSQL is successfully made. Ready to install' 란 메세지가 보이면 성공.
# su postgres (postgres 계정으로 작업하기위해) $ make install (설치)
2.4 설치후 작업
- 라이브러리 추가
# vi /etc/ld.so.conf /usr/local/pgsql/lib # /sbin/ldconfig
- 환경변수 추가
각 개인의 환경변수를 설정하기위해 개인의 .bash_profile에 다음을 추가한다. (DB를 사용할 계정의 환경변수를 설정 - postgres 계정에도 적용시킨다.) PATH=$PATH:/usr/local/pgsql/bin MANPATH=$MANPATH:/usr/local/pgsql/man PGLIB=/usr/local/pgsql/lib PGDATA=/usr/local/pgsql/data export PATH MANPATH PGLIB PGDATA
- 환경 변수 적용
각 계정에서 실행해서 환경변수를 적용시킨다. $ source .bash_profile
- 데이터베이스 초기화 하기
postgres계정으로 작업해야한다. $ initdb -e EUC_KR
2.5 postmaster 데몬 뛰우기
- postgres 계정으로 뛰워야 한다.
$ postmaster -i -S -D /usr/local/pgsql/data
2.6 백업 데이터 복구
- 백업된 파일 db.out을 복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postgres 계정으로 작업한다.
$ psql -e template1 < db.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