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여보, 우리집 거래은행은 안전한거지?

라이프/재테크

by 라제폰 2008. 12. 5. 09:33

본문

 

여보, 우리집 거래은행은 안전한거지?
4대은행 위험도 따져보니
한겨레 김경락 기자
.article, .article a, .article a:visited, .article p{ font-size:14px; color:#222222; line-height:24px; }
» 4대은행 위험도


“목돈을 넣어 뒀는데, 그대로 둬도 괜찮을까요?”

금융회사 가운데 가장 안전하다는 시중은행을 보는 시선도 싸늘해졌다. 상호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만큼은 아니지만 금융소비자들은 경기 둔화 추세가 가팔라지면 은행도 금융위기 회오리에 일격을 당하지 않을까 불안해한다.

이런 위기감은 은행원들도 몸소 느끼고 있다. 한 시중은행 고위 임원은 “일부 고액 예금자들이 (예금자 보호 한도인) 5천만원씩 분산 예치하는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며 “은행에 대한 신뢰가 조금씩 허물어지고 있는 느낌”이라고 토로했다.

최근 3~4년간 무리한 몸집 불리기를 해놓은데다 지난 9월부터 본격화한 글로벌 금융위기가 은행에 직격탄을 날렸다. 당장 외화 유동성 부족이 빚어지면서 정부에 외채 지급보증까지 요청했다. 그 대가로 은행들은 경영 간섭을 담보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금융당국과 체결해야 했다.

은행들이 맞닥뜨린 위기는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발등에 떨어진 과제와 위기의 정도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그간 경영 전략이나 위기 대응 능력에 따라 은행들도 차별화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 PF대출 규모 ‘최대’ 건설사 연쇄도산땐 치명타

우리은행은 수년간 갑절 가까이 불어난 몸집 자체가 큰 부담이다. 주요 시중은행 중 레버리지(자기자본 대비 총자산 비율)가 21.5배로 가장 높다. 자기자본을 생각지 않고 그동안 대출자산 늘리기에 급급했다는 것이다. 금융위기와 실물경제 침체가 동반하는 현 상황에선 높은 레버리지 자체가 위험요인이다.

불어난 몸집 대부분이 경기 민감도가 높은 건설과 부동산 관련 대출자산으로 이뤄져 있다는 점에서 불안감을 더한다. 특히 부동산 기획대출(PF) 부실화 정도가 관건이다. 우리은행은 시중은행 중 부동산 피에프대출 자산이 15조2천억원으로 가장 많은데다, 자기자본 대비 비중도 74.1%로 가장 높다. 최정욱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경기 부진이 지속될 경우 대손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건설사 연쇄 도산이 현실화할 경우 우리은행이 맨 먼저 위험권에 들 수 있다는 것이다.


소호대출 ‘불량채권’ 늘어 파생상품 손실도 많아

하나은행이 가장 염려하는 부분은 총여신에서 10% 넘게 차지하는 소호(SOHO·소규모 자영업) 대출 부실화다. 1년 전부터 위험 관리에 들어갔으나, 각종 건전성 지표가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9월말 기준 총여신에서 ‘요주의 이하’ 여신(1개월 이상 연체 여신) 비중은 2.3% 선에 머물고 있지만 소호 대출의 요주의 이하 여신 비중은 10.3%에 이른다. 1년 전엔 4.0%에 불과했다. 불량 채권 증가는 결국 대손충당금 확대로 이어져 은행의 이익을 갉아먹는다.

이 은행의 지주회사인 하나금융지주는 지난 3분기 때 733억원 적자를 봤다. 이는 피봇(PIVOT)이란 파생상품 계약을 했던 태산엘시디(LCD)가 부도 처리되면서 그에 따른 손실을 떠안았기 때문이다. 이준재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피봇 한 건으로 수천억원 손실을 봤다는 점에서 리스크 관리 능력에 대한 우려를 야기했다”고 꼬집었다.


자산건전성 그나마 나은편 주택경기 더 나빠지면 부담

국민은행은 지난 3분기 실적 발표 당시 시중은행 가운데 유일하게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10% 아래로 떨어져 체면을 구겼지만, 다른 은행들에 견줘 자산건전성은 그나마 나은 편이다.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주택담보 대출이 총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5%로 은행권 평균(29.8%)을 웃돌기 때문이다. 물론 주택경기가 더 나빠지면 오히려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이에 이 은행은 향후 부실화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늘리고 있다. 이 은행의 대손비용(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올 3분기에 3412억원으로, 전분기(1711억원)에 견줘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이에 3분기 순이익도 전년 동기에 견줘 26.7%나 줄어들었다. 성병수 푸르덴셜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경기선행지수가 1년째 하락하고 있고, 대손비용이 경기에 1년 정도 후행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내년부터 대손비용이 본격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자산이 부실에 빠졌을 때 감내할 수 있는 여력인 기본자본비율은 9.14%로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높다.


고환율·부동산침체 지속땐 건전성 지표 하락 여지 커

그간 리스크 관리 능력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던 신한은행도 부동산과 환변동 파생상품에 발목이 잡혀 있다. 부동산 기획대출 잔액이 7조5천억원 등 건설·부동산 기업 대출이 약 15조원으로 은행권에서 높은 수준이다. 8월말 기준으로 이 은행과 통화파생상품 키코 계약을 한 기업들의 손실(실현손익+평가손익)도 3272억원으로 한국씨티은행에 이어 두번째로 많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이상 지속되거나 부동산 경기가 가파르게 하락할 경우엔 건전성 지표가 하락할 여지가 큰 셈이다. 이를 고려한 듯, 신상훈 신한은행장은 지난 1일 월례 조회사에서 “10월 들어 전 산업군에 연체율이 급격히 증가해 은행 건전성에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며 “위험도가 크거나 수익성이 떨어지는 자산을 감축하고 여신의 미사용 한도를 축소해야 한다”고 직원들에게 당부했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