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 이름은 에브라임 킨도입니다. 코트디부아르 미야기주의 시니코송이라는 작은 마을에 사는 12살 소년입니다. 코트디부아르는 대서양 연안의 서부 아프리카에 있는 작은 나라예요. 한국에선 꼬박 20시간을 비행기를 타고 와야 한대요. 우리나라는 초콜릿의 원료인 카카오의 최대 생산지로 유명하지요. 전세계 카카오 생산량의 40%를 차지하는 나라니까요. 우리 마을에서도 카카오를 재배해요. 당연히 우리 집에서도요. 전 12살이지만, 이래봬도 6년이나 카카오 농사를 지은 전문가랍니다.
팔뚝엔 늘 마시트에 벤 상처들
오늘은 꼬네(40) 아저씨네 일을 도와주러 왔어요. 열매를 따서 쪼갠 뒤 카카오콩을 꺼내는 일이에요. 며칠 전 우리 집 일을 꼬네 아저씨가 도와줬기 때문에 오늘은 아빠가 저를 보내셨어요. 우리 동네 사람들은 모두 카카오 농사를 짓는데, 서로 돌아가며 일을 도와요. 한 집에서 경작하는 카카오 밭이 보통 3~5ha 정도 되는데, 가족들만으론 일을 다 할 수가 없거든요. 열매 따기부터 시작해 카카오 콩 꺼내기, 카카오콩 발효시키고 말리기, 농약 치기, 거름 주기, 잡초 제거하기 등 카카오 밭 일은 해도해도 끝이 없어요. 오늘은 이웃에 사는 아마라(34) 아저씨랑 오드라고(18) 형, 드라만(10), 사와도고(19) 형 이렇게 6명이 일을 도와줘요. 우리 마을에선 아침 7시부터 오후 4시까지 일을 하는데, 오늘은 카카오콩 100kg 정도를 분리해낼 수 있을 거라고 꼬네 아저씨가 얘기해주셨어요.
|
||||||
껍질을 쪼개고 꺼낸 카카오콩 송이는 고무통에 담아 집 근처나 밭 입구에 있는 발효·건조대로 가져갑니다. 큰 비닐로 카카오콩을 둘둘 말아 일주일 정도 발효시킨 다음 다시 일주일 동안 햇볕에 바짝 말려야 하거든요. 짙은 갈색으로 잘 마른 카카오콩에선 달콤한 냄새가 나지만, 그 맛은 윽! 너무 쓰고 시어서 먹을 수가 없어요. 오늘 카카오콩 옮기기 담당은 꼬네 아저씨의 아들인 드라만이에요. 드라만은 저보다 어리고 키도 작지만, 무겁고 커다란 고무통을 머리에 번쩍 이고 200m쯤 떨어져 있는 건조대까지 왔다갔다 하는 일을 불평 없이 해내지요. 우리 마을에선 6살 무렵부터 부모님의 카카오 농사일을 돕기 때문에 열 살인 드라만도 일을 곧잘 한답니다.
카카오 농사에서 가장 힘든 일은 잡초 제거와 농약 치기입니다. 거름의 영양 성분이 땅 속까지 제대로 흘러들어 카카오 나무가 잘 흡수하려면, 무성한 잡초부터 마시트로 다 걷어내야 하거든요. 빠른 속도로 마시트를 휘두르다보면 저절로 땀이 뻘뻘 흐르기 때문에 일 잘한다는 19살 누푸 형 조차도 “잡초 제거하는 일이 제일 힘들다”고 불만이예요. 나무가 벌레 먹어 말라 죽지 않도록 농약을 칠 땐 또 어떻고요. 저도, 친구 에브라(12)도 가끔 농약 치기를 돕는데, 우리 키 만한 농약통을 어깨에 메고 마스크도 안 쓰고 일을 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랍니다.
쌀값만 208만원, 한 해 벌이는 243만원
우리 아빠는 29년 전 코트디부아르 북쪽에 있는 나라인 부르키나파소에서 코트디부아르로 이사 오셨대요. 할아버지랑 밀과 옥수수 농사를 지었지만 먹고살기가 너무 힘들었대요. 처음 10년 동안엔 수도인 아비장에서 미장이로 일하셨는데, 고용주인 백인들 밑에서 고생만 하고 돈은 못 벌었대요. 그래서 아비장에서 1050km나 떨어진 이곳으로 와서 카카오 농사를 짓기 시작했답니다. 곳곳이 푹푹 패어 4륜구동 차량이 아니면 여간해선 통행이 힘든 비포장 흙길로만 족히 3시간은 달려와야 하는 우리 마을엔 아빠처럼 부르키나파소에서 온 이슬람교도들이 모여 산답니다. 코트디부아르 인구는 2천만 명이 조금 넘는데, 그중 26%가 부르키나파소, 말리, 기니, 라이베리아, 베냉 같은 주변 나라들에서 온 외국인이래요. 자기들 나라에선 생계를 이어갈 수 없기 때문이라죠. 코트디부아르는 자원도 풍부하고, 주변 나라들보단 잘살 거든요. 외국인들 가운데선 70%, 그러니까 360만여 명이 부르키나파소 사람들이고, 이들 대부분은 아빠나 우리 동네 사람들처럼 카카오 농사를 짓지요.
|
||||||
처음 3만세파프랑(약 8만7천원)을 들고 시니코송으로 와서 1ha짜리 카카오밭 농부로 새로운 삶을 시작한 아빠는 이제 5ha나 되는 카카오밭을 갖고 있어요. 보통 카카오밭 1ha에선 1년에 카카오콩 500kg을 수확할 수 있죠. 아빠는 두 달에 한 번꼴로 잘 말린 카카오콩을 중개상인한테 넘기는데, 지난해 10월부턴 카카오 값이 두 배나 올라 kg당 600~650세파프랑(1740~1885원)을 받습니다. 하지만 카카오값이 오른 건 지난해 비가 많이 오고, 카카오 나무에 흑점병까지 돌아 코트디부아르의 카카오 생산량이 절반 가까이 줄었기 때문이래요. 그래서 실제 아빠가 받는 돈이 늘어난 것 같진 않아요.
사실 아빠는 우리 집 1년 수입과 지출이 얼마인지 계산해본 적이 한 번도 없어요. 그때그때 돈이 들어오면 쌀과 빵, 농약, 비료를 사는 돈으로 다 나가거든요. 농사지은 돈으론 11식구가 살기 빠듯하죠. 그래서 큰형 아다마(33), 둘째형 알라산(30)은 부르키나파소로 돌아가 농사를 짓고 있고요, 셋째형 푸세니(27)는 우리 동네에서 차로 4시간 걸리는 수브레라는 도시에서 카카오 트럭을 운전해요. 큰누나 마리암(26)부터 둘째누나 알리마따(21), 넷째형 슐레만(19), 셋째누나 마무나따(16)와 여동생 아이사따(5), 그리고 제가 아빠·엄마랑 같이 살면서 카카오 농사를 짓지요. 올해 예순인 아빠는 일을 안 하시는데, 저한테 “일을 많이 도와줘서 만족스럽다”고 말씀하시곤 한답니다.
우리 동네 사람들은 대부분 아빠처럼 돈을 얼마나 벌고, 얼마나 쓰는지 잘 몰라요. 계산하는 게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이죠. 가족이 10명인 모하메드(57) 촌장 할아버지는 “먹고살기도 바쁘다”고 하세요. 모하메드 할아버지네는 쌀을 하루에 5kg씩 먹는데, 쌀은 kg당 400~450세파프랑(1160~1305원)이에요. 일주일에 한 번씩 우리 마을에 오는 카카오콩 중개상 노엘 아저씨가 사다주곤 합니다. 한 달이면 150kg, 1년이면 1800kg이 필요하단 얘긴데, 그럼 400세파프랑씩만 잡아도 72만세파프랑(약 208만8천원)이 되네요. 지난해 할아버지네는 카카오콩 1400kg을 재배했으니까, 오른 뒤 값으로 계산해도 벌어들인 돈은 84만세파프랑(약 243만6천원)이죠. 어휴~.
|
||||||
이래서 우리 마을에선 농약이나 비료를 살 때 카카오콩을 최근에 판 집에서 돈을 빌리고, 나중에 카카오콩을 팔아 갚는 일이 반복되는 거였군요. 농약과 비료는 세 달에 한 번씩 줘야 하는데, 농약은 ha당 5만세파프랑(약 14만5천원), 비료는 ha당 10만세파프랑(약 29만원)이 들거든요. 돈이 없으니까 농약을 살 땐 비료를 못 사고, 비료를 살 땐 농약을 못 주고…. 모하메드 할아버지도, 우리 아빠도, 아마라 아저씨도 “카카오콩 값이 kg당 1천세파프랑(약 2900원)만 되면 좋겠다”고 말씀하시는 이유를 알 것도 같습니다. 노엘 아저씨 같은 중개상을 ‘피스떼’라고 부르는데, 이 아저씨들은 다시 ‘아쉐떼’라고 하는 더 큰 중개상들에게 카카오콩을 팔지요. 그래서 잘 사는 나라들에 카카오콩이 팔려갈 때는 ㎏당 1950세파프랑(5655원)쯤 된다고 하네요.
또래 100명 중 학생은 3명뿐
전 코트디부아르에 살지만 공용어인 프랑스어는 말하기도, 쓰기도 못해요. 학교도 안 다니고요. 우리 9형제 가운데 학교를 다닌 건 아다마 형이 유일해요. 초등학교 1학년까지 다녔죠. 우리 아빠는 “나도 너를 학교에 보내고 싶지만, 네가 공부하길 싫어해서 안 보낸다”고 해요. 하지만 정작 저한테 학교에 가고 싶은지 물어본 적은 없어요. 다른 친구들도 비슷할걸요? 200여 가구, 1500여 명이 사는 우리 동네엔 제 또래가 100명 정도 되는데, 그중에 정규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는 3명뿐입니다. 학교는 모두 무료로 다닐 수 있지만, 걸어서 45분 정도 걸리는 먼 곳에 있는데다 다들 저처럼 농사를 도와야 하기 때문이지요. 아, 원래 모하메드 촌장 할아버지댁 근처에 코란과 아랍어를 가르치던 곳이 있었는데 거긴 70여 명이 다녔어요. 저도 9살 때 잠깐 다닌 적이 있고요. 하지만 올해부터 프랑스어와 수학을 가르치는 곳으로 바뀐 뒤로는 그곳에 가는 친구들은 30명도 안 돼요. 학교가 너무 멀어 마을 어른들이 학교에 얘기해 선생님을 보내달라고 했다던데, 이곳에 얼마나 더 많은 친구들이 모일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 마을에서 가장 공부를 많이 한 사람은 살리프(36) 아저씨입니다. 살리프 아저씨는 중학교 1학년까지 다녔대요. 우리 마을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들 중엔 유일하게 살리프 아저씨가 프랑스어로 읽고 쓰기를 할 수 있지요. 그래서 아저씨는 몇 년 전 야간학교를 열어 동네 형들 10명한테 프랑스어를 가르치기도 했대요. 하지만 일이 너무 고되고 힘들어서 그런지, 공부를 하다 말다 해 2년 동안 실제 공부를 한 기간은 열 달이 채 안 된다더라고요. 마을에서 프랑스어를 말할 줄 아는 어른들은 노엘 아저씨처럼 카카오콩을 사러오는 중개상인들한테 조금씩 귀동냥을 했다더군요.
우리 마을엔 수도도 전기도 들어오지 않습니다. 빗물을 받아두거나 개울물을 떠다 흙을 가라앉혀 마시고, 밥을 짓고, 씻기도 하지요. 텔레비전도 볼 수 있어요. 모하메드 촌장 할아버지댁과 할아버지의 큰아들인 아다마(30) 아저씨댁에 텔레비전과 발전기가 있거든요. 코트디부아르의 영웅인 영국 첼시FC의 디디에 드로그바 선수가 경기를 하는 날엔 동네 사람들이 모하메드 할아버지댁이나 아다마 아저씨댁에 모여 경기를 봐요. 3년 전 처음 텔레비전이 이 마을에 들어왔을 때 마을 사람들 모두 얼마나 신기해했는지 몰라요. 눈앞에서 드로그바 선수가 땀을 흘리며 뛰어다니는 장면이라니!
|
||||||
제 또래들은 매일 오후 5시에 축구를 해요. 오후 4시쯤 일이 끝나고 나면 다들 공터에 모여 축구공 하나만 쳐다보며 신나게 뛰어다닙니다. 힘든 일을 마친 뒤 축구를 하며 뛰어노는 이 시간이 저는 정말 좋아요. 우리 동네 오드라고 형은 저보다 더 축구를 좋아하는데, 디디에 드로그바 선수처럼 유명한 축구선수가 되는 게 꿈이래요. 아마 우리 동네 형·누나들 중에 오드라고 형의 꿈이 제일 클걸요? 아미나따(12) 누나의 꿈은 ‘사무실에서 일하기’입니다. 사와도고 형의 꿈은 ‘자전거·오토바이 장사로 돈 많이 벌어 결혼하기’입니다. 나르고(10)의 꿈은 ‘학교 가기’입니다.
꿈은 돈 많이 벌고 천국 가는 것
제 꿈요? 음… 전 농사를 지어 돈을 많이 벌고 싶어요. 사실 다른 일은 뭐가 있는지 잘 모르거든요. 이슬람 율법에 따라 하루에 5번씩, 아침 6시와 오후 2시, 4시, 6시30분, 8시에 드리는 예배 때 저는 기도합니다. 손과 발을 깨끗이 씻고, 이마와 코끝이 바닥에 닿도록 절을 할 때마다 저는 빌고 또 빕니다. “돈을 많이 벌게 해주세요. 그리고 천국에 가게 해주세요”라고요. 돈을 벌려면 저는 카카오밭에서 일을 해야 합니다. 일이 힘들지만, 저와 우리 식구들이 먹으려면 돈을 벌어야 하고, 돈을 벌어야 쌀을 살 수 있다는 걸 저는 알고 있거든요.
아, 그런데 초콜릿은 무슨 맛인가요? 전 초콜릿을 먹어본 적이 없어요. 저도, 우리 형과 누나들도, 우리 부모님도, 우리 마을 사람들도 먹어본 적이 없어요. 어떻게 생겼는지 본 적도 없어요. 그래서 초콜릿이 어떤 맛인지 상상조차 잘 안 돼요. 초콜릿은 잘 익은 카카오 열매의 흰 과즙처럼 부드럽고 새콤하고 달콤한 맛인가요? 설마, 말린 카카오 콩처럼 시고 쓴 맛은 아니겠죠? 저와 친구들, 마을 사람들이 하루도 거르지 않고 카카오콩을 재배하려고 일을 하는 걸 보면, 많은 사람들이 초콜릿을 먹는다는 얘길 테고,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초콜릿을 좋아한다면 틀림없이 초콜릿은 천국에서나 맛볼 수 있을 것 같은 달콤하고 아름다운 맛이겠죠? 그렇겠죠?
| |||||||||||
미야기(코트디부아르)=글·사진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